티스토리 뷰
국민연금이란?
국민연금은 소득이 있을 때 꾸준히 보험료를 납부하다가 세월이 흘러 나이가 들면 생업에 종사할 수 있는 능력이 사라질 때, 예기치 못한 사고나 질병으로 장애를 입거나 사망하였을 때 본인 또는 유족에게 매월 연금을 지급하여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소득 보장제도입니다.
그래서 나는 국민연금을 얼마나 받을까?
온라인을 통해 국민연금을 얼마나 지급받을 수 있을지 인증과정 없이 간편하게 예상수령액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. 실제 가입이력을 기초로 한 보다 정확한 예상연금액은 전자인증을 하신 후에 예상연금조회 서비스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.
만 60세 이상은 가입대상이 아니므로 계산할 수 없습니다.
노령연금 수급이 가능한 최소 가입기간은 10년입니다.
최장 만 60세까지 납부한다는 가정 하에 계산됩니다.
어떻게 계산되는 걸까?
반응형
국민연금 수령액의 계산 공식은 (전체 가입자의 3년간 평균소득 + 가입기간 중 수령자 본인소득 평균) x (1+0.05xN월/12개월) x소득대체율상수로 구할 수 있습니다.
국민연금 수령액 | (A+B) x (1+0.05N/12) x G |
A | 전체 가입자의 3년간 평균소득 |
B | 가입기간 중 수령자 본인 기준소득월액 평균 |
N | 20년 초과 가입월 수 |
G | 소득대체율상수(해가 지나면서 점점 줄어든다) |
노령연금 수령액
2021년 처음 가입자 기준으로 명목급여와 납부기간에 따른 노령연금 수령 추정액입니다.
명목급여 | 월보험료 | 10년납부 | 15년납부 | 20년납부 | 25년납부 | 30년납부 | 35년납부 | 40년납부 |
월100만원 | 9만원 | 166,800원 | 243,210원 | 317,760원 | 392,310원 | 466,860원 | 541,410원 | 615,960원 |
월200만원 | 18만원 | 234,930원 | 348,420원 | 461,910원 | 575,410원 | 688,900원 | 802,390원 | 915,890원 |
월300만원 | 27만원 | 286,680원 | 425,170원 | 563,660원 | 702,160원 | 840,650원 | 979,140원 | 1,117,640 |
월400만원 | 36만원 | 338,430원 | 501,920원 | 665,410원 | 828,910원 | 992,400원 | 1,155,890 | 1,319,390 |
월500만원 | 45만원 | 390,180원 | 578,670원 | 767,160원 | 955,660원 | 1,144,150 | 1,332,640 | 1,521,140 |
월보험료는 월급의 9%입니다. 근로자는 절반만 냅니다.(근로자 4.5%+고용주 4.5%)